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8년에 첫 경기를 치렀으며,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 소속되어 있다.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04년, 2006년, 2008년, 2015년, 2023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한 적이 없으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총 14번 출전했다. 주요 선수로는 나비 케이타, 이시아가 실라, 프랑수아 카마노 등이 있으며, 이시아가 실라는 86경기로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역대 최다 득점 선수는 이브라히마 칸디아 디알로이다. 현재 감독은 카바 디아와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니의 축구 - 기니 축구 연맹
- 기니의 축구 - 기니 U-17 축구 국가대표팀
기니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기니를 대표하는 17세 이하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U-17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하고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에서 3차례 3위를 차지했으나, 선수 부정 문제로 FIFA와 CAF로부터 징계를 받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Syli National (국가대표 코끼리) |
협회 | 기니 축구 연맹 |
하위 연맹 | WAFU (서아프리카) |
대륙 연맹 | CAF (아프리카) |
감독 | 스테판 물랭 |
주장 | 이시아가 실라 |
최다 출장 선수 | 이시아가 실라 (86) |
최다 득점 선수 | 이브라히마 칸디아 디알로 (33) |
홈 경기장 | 스타드 뒤 28 셉템브르 스타드 제네랄 란사나 콩테 |
FIFA 트리그램 | GUI |
FIFA 랭킹 | 현재 FIFA 랭킹 정보는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FIFA 최고 랭킹 | 22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6년 8월, 2007년 1월 |
FIFA 최저 랭킹 | 123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3년 5월 |
Elo 랭킹 | 현재 Elo 랭킹 정보는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Elo 최고 랭킹 | 23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77년 |
Elo 최저 랭킹 | 125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96년 6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guinea24h pattern_b1: _guinea24h pattern_ra1: _guinea24h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EEEE00 socks1: 489866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pumaglory22w pattern_b2: _guinea24a pattern_ra2: _pumaglory22w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가나 6–1 기니 (가나; 1958년 12월 6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기니 14–0 모리타니 (기니; 1972년 5월 20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자이르 6–0 기니 (자이르; 1972년 7월 2일) |
지역 컵 대회 | |
지역 컵 대회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지역 컵 대회 출전 횟수 | 14 |
첫 지역 컵 대회 출전 | 1970년 |
지역 컵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1976년) |
지역 컵 대회 2 | |
지역 컵 대회 2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지역 컵 대회 2 출전 횟수 | 3 |
첫 지역 컵 대회 2 출전 | 2016년 |
지역 컵 대회 2 최고 성적 | 3위 (2020년) |
지역 컵 대회 3 | |
지역 컵 대회 3 이름 | 아밀카르 카브랄 컵 |
지역 컵 대회 3 출전 횟수 | 18 |
첫 지역 컵 대회 3 출전 | 1979년 |
지역 컵 대회 3 최고 성적 | 우승 (1981년, 1982년, 1987년, 1988년, 2005년) |
2. 역사
기니는 1958년 12월 6일 가나와의 원정 친선 경기에서 6-1로 패하며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 1963년 196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기니 관계자를 기용했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되었다.[2] 1965년 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는 세네갈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2]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기니는 모로코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3][4]
2001년, FIFA는 정부의 축구 개입을 이유로 기니를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제외시켰다.[5] 2년간의 출전 금지 후 2002년 9월 국제 무대에 복귀했다.[6]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3회 연속 8강에 진출했지만, 각각 말리,[7] 세네갈,[8] 코트디부아르[9]에 패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리그에서는 보츠와나를 6-1로 크게 이겼지만,[10] 가나와 비기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1]
2016년 1월 4일, CAF는 2015년 12월 유엔 세계보건기구가 기니의 에볼라 종식을 선언한 후 기니에서의 국제 홈 경기 금지를 해제했다.[12]
2. 1. 초기 역사 (1960년대 ~ 1970년대)
기니는 1958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1960년에 축구 협회를 설립하고 국가대표팀을 창설했다.[1]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불참했고, 1966년 대회에는 기권했다. 1963년 가나에서 열린 196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으나,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기니 관계자를 기용했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되었다.[2]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기니는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에서 2무 1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결승 리그에서 모로코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3][4]
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57 | 참가하지 않음 | ||||||
1959 | |||||||
1962 | |||||||
1963 | 실격 | ||||||
1965 | 예선 탈락 | ||||||
1968 | |||||||
1970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2 | 1 | 4 | 7 |
1972 | 예선 탈락 | ||||||
1974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4 | 4 |
1976 | 준우승 | 6 | 3 | 3 | 0 | 11 | 7 |
1978 | 예선 탈락 | ||||||
1980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3 | 5 |
2. 2. 1980년대 ~ 2000년대: 부진과 재도약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기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에 계속 실패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2001년에는 정부의 축구 개입 문제로 인해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FIFA로부터 실격 처분을 받기도 했다.[5] 2년간의 국제 대회 출전 금지 이후, 2002년 9월에 국제 무대에 복귀했다.[6]이후 기니는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여 말리에게 1-2로 패했고,[7]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세네갈에게 2-3으로 져[8] 8강에서 탈락했다.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8강에 올랐으나 코트디부아르에 0-5로 크게 패했다.[9]
2. 3. 최근 동향 (2010년대 ~ 현재)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리그에서 기니는 보츠와나를 6-1로 크게 이기며 1970년 코트디부아르 이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6골을 넣은 첫 번째 팀이 되었다.[10] 그러나 이후 가나와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1]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다시 한번 8강에 진출했고,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과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콩고민주공화국에게 패하며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16년 1월 4일, CAF는 2015년 12월 유엔 세계보건기구가 기니의 에볼라가 종식되었다고 선언한 후 기니에서 국제 홈 경기를 치르는 것에 대한 금지를 해제했다.[12]
3. 국제 대회 경력
기니는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7승 2무 3패(20골)로 기니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과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1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14번 진출하여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2006년, 2008년, 2015년, 2023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 1승 2패로 11위를 기록했다.[22]
아밀카르 카브랄컵에서는 5번 우승, 1번 준우승했고,[1] 서아프리카 국가연합컵에서는 1985년에 3위를 기록했다.[1]
3. 1. FIFA 월드컵
기니는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7승 2무 3패(20골)를 기록하여 기니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과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18]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1958년 | 독립 이전 | ||||||||
1962년 | 불참 | ||||||||
1966년 | 기권 | ||||||||
1970년 | FIFA로부터 참가를 거절당함 | ||||||||
1974년 ~ 1998년 | 예선 탈락 | ||||||||
2002년 | 실격 (예선 진행 도중에 FIFA에 의해 실격 처리됨) | ||||||||
2006년 ~ 2022년 | 예선 탈락 | ||||||||
합계 |
3. 1. 1. FIFA 월드컵 (예선)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 경험은 없지만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2경기에서 7승 2무 3패로 기니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고 아울러 20골로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갈아치웠다.[18]연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74년 | 4 | 1 | 1 | 2 | 6 | 5 | 4 |
1978년 | 7 | 5 | 0 | 2 | 11 | 7 | 15 |
1982년 | 6 | 2 | 3 | 1 | 6 | 4 | 9 |
1986년 | 2 | 1 | 0 | 1 | 1 | 2 | 3 |
1990년 | 2 | 1 | 0 | 1 | 3 | 5 | 3 |
1994년 | 6 | 2 | 0 | 4 | 8 | 7 | 6 |
1998년 | 8 | 5 | 0 | 3 | 15 | 9 | 15 |
2002년 | 2 | 1 | 1 | 0 | 7 | 4 | 4 |
2006년 | 12 | 7 | 2 | 3 | 20 | 13 | 23 |
2010년 | 12 | 4 | 2 | 6 | 16 | 19 | 14 |
2014년 | 6 | 3 | 1 | 2 | 12 | 8 | 10 |
2018년 | 8 | 3 | 0 | 5 | 9 | 14 | 9 |
2022년 | 예선 탈락 | ||||||
합계 | 75 | 35 | 10 | 30 | 114 | 97 | 115 |
- 1962년 - 불참
- 1966년 - 기권
- 1970년 - 불참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총 14번 진출했다. 1976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것이 역대 최고 성적이며, 2004년, 2006년, 2008년, 2015년, 2023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57 | 참가하지 않음 | ||||||
1959 | |||||||
1962 | |||||||
1963 | 실격[19] | ||||||
1965 | 예선 탈락 | ||||||
1968 | |||||||
1970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2 | 1 | 4 | 7 |
1972 | 예선 탈락 | ||||||
1974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4 | 4 |
1976 | 준우승 | 6 | 3 | 3 | 0 | 11 | 7 |
1978 | 예선 탈락 | ||||||
1980 | 조별 리그 탈락 | 3 | 0 | 1 | 2 | 3 | 5 |
1982 | 예선 탈락 | ||||||
1984 | |||||||
1986 | |||||||
1988 | |||||||
1990 | |||||||
1992 | |||||||
1994 | 조별 리그 탈락 | 2 | 0 | 0 | 2 | 1 | 3 |
1996 | 예선 탈락 | ||||||
1998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3 | 3 |
2000 | 예선 탈락 | ||||||
2002 | 실격[20] | ||||||
2004 | 8강 | 4 | 1 | 2 | 1 | 5 | 5 |
2006 | 4 | 3 | 0 | 1 | 9 | 4 | |
2008 | 4 | 1 | 1 | 2 | 5 | 10 | |
2010 | 예선 탈락 | ||||||
2012 | 조별 리그 탈락 | 3 | 1 | 1 | 1 | 7 | 3 |
2013 | 예선 탈락 | ||||||
2015 | 8강 | 4 | 0 | 3 | 1 | 3 | 6 |
2017 | 예선 탈락 | ||||||
2019 | 16강 | 4 | 1 | 1 | 2 | 4 | 6 |
2021 | 4 | 1 | 1 | 2 | 2 | 3 | |
2023 | 8강 | 5 | 2 | 1 | 2 | 4 | 6 |
합계 | 14/34 | 52 | 15 | 18 | 19 | 65 | 72 |
3. 2. 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니는 196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실격 처리되었다.[21]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3년 | 2 | 1 | 1 | 0 | 3 | 2 | 4 |
1965년 | 4 | 2 | 0 | 2 | 6 | 6 | 6 |
1968년 | 5 | 2 | 1 | 2 | 10 | 8 | 7 |
1970년 | 4 | 2 | 2 | 0 | 10 | 5 | 8 |
1972년 | 4 | 1 | 2 | 1 | 2 | 3 | 5 |
1974년 | 2 | 0 | 2 | 0 | 3 | 3 | 2 |
1976년 | 4 | 3 | 1 | 0 | 11 | 4 | 10 |
1978년 | 4 | 3 | 0 | 1 | 8 | 5 | 9 |
1980년 | 4 | 2 | 0 | 2 | 8 | 7 | 6 |
1982년 | 2 | 0 | 2 | 0 | 3 | 3 | 2 |
1984년 | 2 | 0 | 0 | 2 | 0 | 3 | 0 |
1986년 | 2 | 0 | 1 | 1 | 2 | 5 | 1 |
1988년 | 4 | 2 | 1 | 1 | 3 | 5 | 7 |
1990년 | 2 | 0 | 1 | 1 | 1 | 4 | 1 |
1992년 | 6 | 2 | 2 | 2 | 5 | 5 | 8 |
1994년 | 5 | 1 | 4 | 0 | 5 | 4 | 7 |
1996년 | 10 | 5 | 2 | 3 | 17 | 9 | 17 |
1998년 | 3 | 2 | 0 | 1 | 2 | 1 | 6 |
2000년 | 4 | 1 | 1 | 2 | 3 | 5 | 4 |
2002년 | 2 | 1 | 1 | 0 | 4 | 2 | 4 |
2004년 | 6 | 4 | 0 | 2 | 10 | 3 | 12 |
2006년 | 12 | 7 | 2 | 3 | 20 | 13 | 23 |
2008년 | 6 | 3 | 2 | 1 | 10 | 3 | 11 |
2010년 | 12 | 4 | 2 | 6 | 16 | 19 | 14 |
2012년 | 6 | 4 | 2 | 0 | 13 | 5 | 14 |
2013년 | 2 | 1 | 0 | 1 | 1 | 2 | 3 |
2015년 | 6 | 3 | 1 | 2 | 10 | 8 | 10 |
2017년 | 6 | 2 | 2 | 2 | 5 | 5 | 8 |
2019년 | 6 | 3 | 3 | 0 | 8 | 4 | 12 |
합계 | 137 | 61 | 38 | 38 | 199 | 151 | 221 |
3. 3.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자국 리그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2번 출전하여 2016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고, 2018년 대회에서는 1승 2패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3. 4. 올림픽
기니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 11위로 대회를 마감했다.[22]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4년 도쿄 올림픽 | 불참 |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 조별 리그 | 11위 | 3 | 1 | 0 | 2 | 4 | 9 | 3 |
1972년 뮌헨 올림픽부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까지 | 진출 실패 | ||||||||
합계 | 1회 진출 | 조별 리그 (1회) | 3 | 1 | 0 | 2 | 4 | 9 | 3 |
3. 5.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아밀카르 카브랄컵에서는 6번의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5번의 우승과 1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1]대회 | 결과 |
---|---|
1981년 | 우승 |
1982년 | 우승 |
1987년 | 우승 |
1988년 | 우승 |
2005년 | 우승 |
1989년 | 준우승 |
1979년 | 3위 |
1980년 | 3위 |
1997년 | 3위 |
2000년 | 3위 |
서아프리카 국가연합컵에서는 1985년에 3위를 기록했다.[1]
대회 | 결과 |
---|---|
1985년 | 3위 |
4. 선수
나비 케이타, 이스마엘 방구라, 티티 카마라 등은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었던 주요 선수들이다.[15]
4. 1. 주요 선수
다음은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 목록이다.- 나비 케이타[15]
- 이시아가 실라[15]
- 이브라히마 콩테[15]
- 모하메드 야타라[15]
- 소리 상콩[15]
- 사디오 디알로[15]
- 프랑수아 카마노[15]
- 나비 야타라[15]
- 라스 방구라[15]
- 이브라히마 트라오레[15]
- 이드리사 실라[15]
- 알리 케이타[15]
- 보보 발데[15]
- 카밀 자야트[15]
- 케빈 콘스탕[15]
- 플로랑탱 포그바[15]
- 파블로 티암[15]
- 파스칼 펀두노[15]
- 보쿤지 카[15]
- 아마두 디아와라[15]
- 이스마엘 방구라[15]
- 티티 카마라[15]
- 알하산 케이타[15]
- 호세 칸테[15]
- 세르주 기라시[15]
4. 2. 역대 최다 출전 선수

순위 | 선수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이스야가 실라 | 86 | 3 | 2011년–현재 |
2 | 파스칼 펭두누 | 85 | 30 | 1998년–2012년 |
3 | 우스만 은곰 카마라 | 73 | 2 | 1992년–2005년 |
4 | 케모코 카마라 | 71 | 0 | 1994년–2013년 |
5 | 몰라이 수마 | 69 | 2 | 1988년–2004년 |
6 | 셰리프 술레이마네 | 68 | 20 | 1964년–1977년 |
7 | 디안보보 발데 | 67 | 2 | 2000년–2012년 |
8 | 나비 야타라 | 61 | 0 | 2007년–2019년 |
9 | 포데 만사레 | 60 | 8 | 2002년–2010년 |
10 | 티티 카마라 | 59 | 27 | 1991년–2004년 |
4. 3. 역대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득점 | 기간 |
---|---|---|---|
1 | 이브라히마 칸디아 디알로 | 33 | 1960년-1973년 |
5. 역대 감독
다음은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페트레 몰도베아누 | Petre Moldoveanu|페트레 몰도베아누ro | 1975–1977[14] |
세르주 드베즈 | Serge Devèze|세르주 드베즈프랑스어 | 1992–1993 |
보로 프리모라츠 | Boro Primorac|보로 프리모라츠bs | 1994 |
미하일로 포멘코 | Михайло Фоменко|미하일로 포멘코uk | 1994 |
볼로디미르 뭉티안 | Володимир Мунтян|볼로디미르 뭉티안uk | 1995–1998 |
앙리 쌈불리 | Henri Stambouli|앙리 쌈불리프랑스어 | 1998–1999 |
브뤼노 메츠 | Bruno Metsu|브뤼노 메츠프랑스어 | 2000 |
베르나르 시몽디 | Bernard Simondi|베르나르 시몽디프랑스어 | 2000–2001 |
미셸 뒤수예 | Michel Dussuyer|미셸 뒤수예프랑스어 | 2002–2004 |
파트리스 느베 | Patrice Neveu|파트리스 느베프랑스어 | 2004–2006 |
로베르 누자레 | Robert Nouzaret|로베르 누자레프랑스어 | 2006–2009 |
티티 카마라 | Titi Camara|티티 카마라프랑스어 | 2009 |
마마디 수아레 | Mamadi Souaré|마마디 수아레프랑스어 | 2009–2010 |
미셸 뒤수예 | Michel Dussuyer|미셸 뒤수예프랑스어 | 2010–2015 |
루이스 페르난데스 | Luis Fernández|루이스 페르난데스프랑스어 | 2015–2016 |
라페 방구라 | Lappé Bangoura|라페 방구라프랑스어 | 2016–2018 |
폴 풋 | Paul Put|폴 풋nl | 2018–2019 |
디디에 식스 | Didier Six|디디에 식스프랑스어 | 2019–2021 |
카바 디아와라 | Kaba Diawara|카바 디아와라프랑스어 | 2021– |
6. 유니폼 공급 업체
키트 공급 업체 | 기간 |
---|---|
-- 에어니스 | 2014년–2016년 |
-- 신디오 | 2017년 |
-- 마크론 | 2018년–2020년 |
-- 마시타(Masita) | 2021년–2022년 |
-- 푸마 | 2022년–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Guine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24-12-16
[2]
웹사이트
Guine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2-02-01
[3]
웹사이트
Guinea: Country Info
https://web.archive.[...]
FIFA
2012-02-01
[4]
웹사이트
African Nations Cup 1976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2-02-01
[5]
뉴스
Fifa confirm Guinea ban
http://news.bbc.co.u[...]
2001-03-19
[6]
뉴스
Guinea make their return
http://news.bbc.co.u[...]
2002-09-05
[7]
뉴스
Mali squeeze through
http://news.bbc.co.u[...]
2004-02-07
[8]
뉴스
Guinea 2–3 Senegal
http://news.bbc.co.u[...]
2006-02-03
[9]
뉴스
Quarter-finals: Civ 5–0 Gui
http://news.bbc.co.u[...]
2008-02-04
[10]
뉴스
Nations Cup: Guinea crush Botswana
https://www.bbc.co.u[...]
2012-01-28
[11]
뉴스
Nations Cup: Ghana through after 1–1 draw with Guinea
https://www.bbc.co.u[...]
2012-02-01
[12]
웹사이트
Soccer-Guinea cleared to host matches after being declared Ebola-free
https://web.archive.[...]
Reuters
2016-01-04
[13]
웹사이트
Nouveau staff du Syli : 2 membres contestés par le ministère
https://guineefoot.i[...]
2019-09-24
[14]
문서
Petre Moldoveanu appointed manager of Guinea
[15]
웹사이트
Les 23 sélectionnés
https://www.facebook[...]
Guinean Football Federation
[16]
웹사이트
Appearances for Guinea National Team
https://www.rsssf.or[...]
2023-02-03
[17]
문서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18]
문서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19]
문서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20]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21]
문서
기니 축구협회 창립 이전
[2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3]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